1. 페이지 디렉티브
웹 페이지에 대한 파일의 속성을 기술하는 지시문이다.
아래 스크립트 태그의 종류를 나열할 때 지시문은 <%@ %>으로 표현된다고 한다.
페이지 디렉티브의 위치는 최상단이며 %와 @ 사이는 띄우지 않는다.
페이지 디렉티브의 속성을 알아보자.
language: 기본값은 JAVA이며,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언어의 속성을 지정한다.
contextType: 기본값은 text/html이며, 문서의 유형의 속성을 지정한다.
pageEncoding: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 유형의 속성을 지정한다. 보통 UTF-8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위에 3개는 JSP파일을 만들기만 해도 작성되어져 있는 디폴트값이다.
아직까지는 딱히 다른 속성을 사용해보지 않아서 나중에 사용하게 되면 그 때 작성하겠다.
2. 스크립트 태그
※ 스크립트 태그란?
JSP 파일에서 JAVA 소스 코드를 입력할 때 사용
//종류
스크립틀릿(scriptlet): <% %> | java 로직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
주석문(comment): <%-- --%> | 소스코드에 대한 설명글 쓸 때 사용
지시문(Directive): <%@ %> | 웹페이지에 대한 변환정보를 서버에 전달할 때 사용
선언문(Declaration): <%! %> | 메소드 정의 및 변수 선언 시 사용
표현문(Expression): <%= %> | 값을 출력할 때 사용
주석문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나는 주석을 달 때 자바에서 사용되는 "//"을 주로 사용한다.
3. 띄어쓰기와 줄 바꾸기
Line 21
아무 생각없이 ln을 붙였으니 띄워지겠지라고 생각했다가 구글링을 했다.
"" 사이에 태그가 들어가면 당연히 출력도 "<br>"로 나오겠지 라고 생각했다가 줄이 바뀌는 것을 보고
부랴부랴 작성한다.
ln은 의미가 없는 짓이었고, "<br><br>"을 사용해서 Line 22의 예제 사이에 빈 줄을 만들었다.
Line 22
줄을 바꿔서 띄어쓰기에 관해 비교해보기 위해 작성했다.
""만 사용했다가 결과가 똑같은 것을 보고 쌍따옴표 사이를 한 번 띄어줌으로써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HelloJSP.jsp
(+) 웹 서버 포트 변경
톰캣은 기본적으로 8080 포트를 사용한다.
하지만 후에 살펴볼 5장에서 Oracle XE에서도 같은 포트를 사용하여 충돌이 일어나므로
톰캣에서 포트를 변경해준다.
포트 변경은 server 폴더의 server.xml 파일에서 진행할 수 있다.
포트 변경 후에는 서버를 재시작해준다.
간혹 가다 안 건드린 부분에서 의미없이 에러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신기한 건 위를 보면 에러 표시가 없다.
이해할 수 없는 에러가 나오면 오른쪽 스크롤에 뜨는 에러만 보지말고
위쪽 파일리스트에 에러(x)표시가 있는지 한 번 더 확인해보자.
'ebook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내장 객체 - request (0) | 2022.05.24 |
---|---|
[4] 스크립트 요소 (0) | 2022.05.23 |
[3] 지시어 (0) | 2022.05.21 |
[2] JSP란 (0) | 2022.05.17 |
[보충교재] 성낙현의 JSP 자바 웹 프로그래밍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