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I(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 응용SW엔지니어링 개요
○ SW 제품은 특정 고객 또는 일반적인 시장을 위해 개발된다.
- 일반적인 형태는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를 위해 개발되며 예시로는 엑셀/워드 등이 있다.
- 주문 형태는 특정 고객의 사양에 맞게 개발된다.
○ 새로운 SW는
- 신규 개발되거나
- 기존 SW를 재사용하거나
- 일반적 SW를 재구성하여 만들어진다.
○ 응용SW엔지니어링이란
응용 SW를 구축, 운영, 유지보수, 재구축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데 관련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 응용 SW엔지니어 직무자는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각 업무에 맞는 SW 기능을 설계, 구현 및 테스트하고
- 사용자에게 배포하며
- 버전관리를 통해 제품 성능 향상과 서비스 개선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 개발프로젝트 매니저 / 프로그램 개발자 / 프로그램 설계자 / 화면 설계자 / 프로그램 테스터
- 정보시스템 이관 업무 수행자 등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 업무를 수행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User Interface)
정보시스템에서 화면으로 지칭되어지는 요소와 가장 큰 관련이 있다.
○ 컴퓨터 상호 작용(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 사용자 경험을 더하여 UI/UX(User Interface / User Experience)라고 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입력: 사용자가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 출력: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스템 생성 결과를 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 UI 분류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 WUI - Web User Interface
- CLI - Command User Interface
- Batch Interface
- Touch Interface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 화면 설계 원칙
◇ 직관성: 화면의 버튼, 항목, 입력 칸 등 한 눈에 봐도 그 기능과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 일관성: 여러 화면의 인터페이스에서 각 항목 배치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 효율성: 화면이 쉽게 익숙해져야 하며 사용이 효율적이어야 한다.
○ 최소 당황의 원칙
사용자 경험에서 사용자가 익숙한 상황에 맞춰 설계한 것을 의미한다.
방의 문손잡이를 예로 들었을 경우에 보통 잡기 편안한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데
만약 문손잡이가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경우 이게 뭔가 싶을 것이다.
// 웹/모바일 접근성 지침
○ 웹/모바일 접근성
: 어떤 사용자(장애인, 노인) 및 기술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정의내렸다.)
○ 접근성
: 장애인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정보통신 기기 및 서비스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 ex) 리모콘, 전화, 자동문 등은 장애인과 노인들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널리 보급되며 모든 이가 편하게 활용하게 되었다.
(자동문은 그런 것 같았는데 리모콘은 처음 알았다..)
// 사용자 경험 (UX: User Experience)
○ 사용자 경험이란
-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
- 단순 기능과 절차상의 만족 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 알 수 있는 가치 있는 경험을 의미한다.
○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
- 긍정: 사용자 니즈의 만족, 브랜드 충성도향상, 시장에서의 성공을 가져다 주는 주요 사항이 된다.
- 부정: 감정적, 이성적, 경제적으로 편리하지 못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을 할 때 발생한다.
[다음 글]
응용SW엔지니어링 수행 프로세스(2) - 사용자 경험